본문 바로가기
세상 모든 교육

[AI 디지털교과서] l 전북특별자치도 AIDT 운영방향 쉽게 풀어보기

by 핼미가 주는 세상 모든 정보 2025. 6. 29.

전북특별자치도 AIDT 운영방향

🧠 AI 디지털교과서, 전북특별자치도는 이렇게 준비 중입니다.

— AIDT 운영방향 쉽게 풀어보기

AI 디지털교과서, 요즘 교육계에서 정말 많이 들리는 단어죠.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꽤 빠르게 이 흐름을 받아들여서, 이미 270개교 이상이 AIDT를 도입해 활용하고 있어요.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앞으로 어떻게 할 건데?”입니다.
도입만 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어떻게 안착시키고 확산할지가 진짜 핵심이니까요.

1️⃣ 이제는 '정착'이 목표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올해 AIDT를 단순 도입이 아니라, 학교 수업 속으로 녹여내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어요.
교사들이 직접 AIDT를 써본 수업 사례를 공유하고, 실제로 적용하고 있는 학교들에는 현장 컨설턴트가 방문해서 “이런 방식도 있다”는 팁을 전수하죠.

게다가 6월부터는 '수업 나눔'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가동해서, “이 학교는 이렇게 썼더니 효과가 있더라” 하는 생생한 이야기를 교사들끼리 나눌 수 있게 합니다.

2️⃣ 교사도 함께 준비한다

AIDT가 아무리 좋아도, 결국 이걸 잘 쓰는 사람은 교사입니다.
그래서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연수 체계도 빼곡하게 짜놨어요.
초등부터 고등, 특수학교까지 디지털교과서 연수를 단계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에듀테크 멘토링'이라는 이름으로 교사끼리 도와주는 네트워크도 확대하고 있어요.

2024년에 105개교, 2025년에는 180개교까지 멘토링을 늘릴 계획이라고 하네요.
단순한 연수보다 현장에서 직접 써보고, 서로 알려주는 방식이 훨씬 실용적이라는 걸 잘 알고 있는 거죠.

3️⃣ 기기만 있는 게 아니라 플랫폼도 있다

기기 보급은 이미 어느 정도 끝났어요.
초3 이상 학생은 1인 1스마트기기를 다 받았고, 전자칠판, 무선망, 디지털 수업에 필요한 인프라도 대부분 구축이 완료됐어요.

여기에 '전북 디지털수업혁신 플랫폼'까지 생겼는데요, 이 플랫폼 안에는 교사용 매뉴얼, 학부모용 안내문, 수업 자료 등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도구들이 정리돼 있어요.
즉, “기계는 줬는데 방법은 몰라요” 하는 상황을 최대한 줄이려는 거죠.

🧩 그럼 앞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서, 수업의 질을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어요.
이를 위해선 몇 가지 포인트가 중요해 보여요.

  • AIDT가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 성취도, 만족도 데이터를 꾸준히 모아야 해요.
  • 교사들의 ‘지속적인 학습’ 지원 — 단계별로 연속적인 지원이 필요해요.
  • 학생의 디지털 역량도 고려 — 기기만 있다고 모두가 잘 쓰는 건 아니거든요.

💬 마무리하며

AI 디지털교과서(AIDT)는 그냥 디지털 파일이 아니에요.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맞춤형 학습 경로를 제시할 수 있는 도구고, 교사에게는 새로운 수업 설계의 기회이기도 해요.

전북은 이제 막 그 시작을 제대로 열었고, 이제는 "다른 지역에도 확산되고, 교육 문화까지 바꾸는 힘"으로 작용할지 기대가 됩니다.